홈 서버 구축기 #1 1인 창업자의 인프라 구성

Hyunjun By Hyunjun 2025년 08월 12일

1인 창업을 시작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었는데, 클라우드 비용이 만만치 않더라고요. 그래서 홈서버를 구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홈서버 구축을 결정한 이유

퇴사 전 현업에서는 풀스택 개발자로 일하면서 서버와 리눅스 시스템을 다루는 것을 좋아했고, 시스템 엔지니어의 영역까지도 겸하고 있었습니다.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에 익숙했던 터라, 창업 후에도 직접 서버를 운영하고 싶었어요.

창업 후 느낀 점들

  • 개발/테스트 환경이 여러 개 필요
  • 24시간 돌아가야 하는 서비스들
  • 클라우드 비용이 점점 증가
  • 직접 인프라를 관리하고 싶은 욕구 (이미 경험이 있으니까)

기존에는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Ampere A1 4코어)를 사용했지만, 더 많은 가상화 환경이 필요했습니다.

고려사항

필수 요구사항

  • CPU & 메모리: 최소 8대 이상의 VM을 돌릴 수 있는 성능
  • 24시간 운영: 저소음, 저전력
  • 네트워크: VDSL 환경에서도 운영 가능 (지난 포스팅 참고)
  • 그래픽카드: 불필요

예산

  • 총 예산 100만원 내외
  • 전기세를 고려한 저전력 부품 선택

최종 구매 스펙

실제 구매한 부품들입니다.

부품 선택 이유

  • Ryzen 5 9600X: 최신 Zen 5 아키텍처로 뛰어난 전성비와 가상화 성능
  • 32GB DDR5: 차세대 메모리로 VM 다중 운영에 충분한 용량과 속도
  • 1TB NVMe: 빠른 VM 이미지 로딩과 충분한 저장 공간
  • B650M Wi-Fi: 내장 Wi-Fi로 초기 셋업 편의성 확보
  • 700W Bronze 파워: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80+ 인증으로 전기효율 확보

OS 설치

현업에서 가장 많이 다뤘던 Ubuntu Server 24.04 LTS를 선택했습니다.

  • GUI 없는 CLI 환경으로 리소스 절약
  • LTS 버전으로 장기 지원 보장
  • 익숙한 환경에서 빠른 셋업 가능

설치 과정

  1. Ubuntu Server ISO를 USB에 구워서 부팅
  2. 네트워크는 일단 Wi-Fi로 설정 (나중에 유선으로 변경)
  3. 스토리지 구성
  4. 중요: OpenSSH 서버 설치 체크 필수!

전력 소비 및 비용

실측 결과 (Ryzen 9600X의 우수한 전성비)

  • 유휴 시: 약 50W
  • 평균 사용 시: 약 90W
  • 풀로드 시: 약 140W
  • 월 평균 전기요금: 약 15,000원

네트워크 구성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VDSL 환경에서의 구성

  • KT 공유기의 DDNS 기능 활용
  • 포트포워딩으로 필요한 서비스만 외부 노출

소음 및 발열 관리

  • CPU 쿨러: 3RSYS 듀얼 타워 쿨러로 정숙성과 냉각 성능 확보
  • 케이스: 메쉬 디자인으로 우수한 에어플로우
  • 실측 소음: 약 28dB (매우 조용함)
  • CPU 온도: 평상시 38도, 풀로드 시 65도 (Zen 5의 우수한 발열 특성)

장단점

장점

  • 완전한 인프라 제어권 (현업 경험을 그대로 활용)
  • 월 38만원 이상의 클라우드 비용 절감
  • 최신 CPU와 DDR5로 뛰어난 성능
  • 물리적 접근 가능 (문제 발생 시 즉시 대응)
  • 향후 업그레이드 용이성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약 107만원)
  • 전기세 및 인터넷 비용
  • 하드웨어 고장 리스크 (자가 관리 필요)
  • 공간 차지 (미들타워 케이스)

실제 사용 후기

시스템 엔지니어 경험이 있어서인지 셋업은 정말 빨리 끝났습니다.

  • 익숙한 환경이라 트러블슈팅도 빠름
  • Zen 5 아키텍처의 놀라운 성능
  • DDR5의 빠른 속도로 VM 전환이 매우 빠름
  • 생각보다 조용하고 전기도 적게 먹음
  • 클라우드 비용 스트레스에서 해방

무엇보다 내가 직접 하드웨어를 선택하고 구성했다는 점이 뿌듯하네요.

마치며

풀스택 개발자이자 시스템을 다뤄본 경험이 있는 1인 창업자에게 홈서버는 정말 좋은 선택입니다. 클라우드도 좋지만,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재미가 있거든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공유기, DDNS 등을 활용하여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