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창업 일지 #10 웹툴 서비스 개발 중 애드센스 반려, 그리고 재도전기
그동안 제가 앱 관련해서만 많이 말씀드렸는데요, 사실 웹 관련해서도 수익화를 위해 서비스를 계속 구현 및 배포하고 있었습니다. 웹 서비스에서의 수익은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 수익으로 수익을 내려고 하고 있었고, 최근 다양한 웹툴 서비스들을 개발하며 구글 애드센스를 신청했다가 반려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과정과 재신청을 위한 준비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들
저는 개발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유틸리티 툴들을 웹 서비스로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jsonparser.example.com: JSON 데이터를 보기 좋게 파싱하고 검증하는 서비스
- base64.example.com: Base64 인코딩/디코딩 서비스
- markdown.example.com: 실시간 미리보기가 가능한 마크다운 에디터
- example.com: 모든 웹툴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메인 포털 페이지
각 서비스는 서브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도메인에서는 전체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통합 관리 체계
여러 서브도메인을 운영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구글 서치 콘솔: 루트 도메인으로 등록하여 모든 서브도메인의 검색 성능을 한 곳에서 모니터링
- 구글 애널리틱스: 루트 도메인 기준으로 설정하여 전체 서비스의 트래픽을 통합적으로 분석
- 구글 애드센스: 루트 도메인 하나만 등록하여 모든 서브도메인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도록 설정
이러한 통합 관리 방식은 여러 서브도메인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며, 전체적인 서비스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드센스 반려, 그리고 원인 분석
첫 번째 애드센스 신청이 반려되면서 여러 가지 원인을 분석해보았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는 단순히 기능만 제공하는 사이트보다는 완성도 높은 웹사이트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재신청을 위한 개선 작업
반려 후 다음과 같은 페이지들을 추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About 페이지: 서비스의 목적과 개발자 소개
- Contact 페이지: 사용자들이 문의할 수 있는 연락처 정보
- Privacy Policy: 개인정보 처리방침
- Terms of Service: 서비스 이용약관
추가로 기존에 계획했던 markdown.example.com 서비스도 완성하여 런칭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마크다운 문법을 HTML로 변환해 미리보기를 제공하며, 개발자들이 README 파일이나 기술 문서를 작성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완성도를 높이고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했습니다.
애드센스 승인과 필수 페이지들의 관계
구글 애드센스 승인에 있어 위에서 언급한 페이지들은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신뢰성 향상 Privacy Policy와 Terms of Service는 사이트가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GDPR이나 CCPA 같은 개인정보보호 규정이 강화되면서 이런 페이지들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2. 전문성 입증 About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의 목적과 운영자의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구글이 광고를 게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이트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사용자 경험 개선 Contact 페이지는 사용자들이 문제가 있을 때 연락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합니다. 이는 사이트가 사용자를 고려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줍니다.
4. 콘텐츠의 완성도 단순한 기능 제공을 넘어서 완전한 웹사이트의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구글은 광고를 게재할 사이트가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추기를 원합니다.
마무리하며
웹툴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애드센스 승인을 받는 것은 생각보다 까다로운 과정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필수 페이지들을 추가하는 것은 단순히 애드센스 승인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현재 개선 작업을 마치고 재신청을 준비 중입니다. 이번에는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하며, 추후 결과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재신청 전에 여러분의 사이트가 애드센스 승인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미리 확인해보고 싶다면, Google AdSense Eligibility Checker에서 홈페이지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면 애드센스 승인 가능성을 점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도 재신청 전에 이 도구를 활용해 개선된 사이트의 점수를 확인해보고 있습니다.